Post

JPA 영속화 순서 변경 - Dirty Checking과 @DynamicUpdate 사용

JPA 영속화 순서 변경 - Dirty Checking과 @DynamicUpdate 사용

Dirty Checking과 관련된 내용을 복습하며 영속화 순서에 대해 궁금했던 것들, 그리고 실험했던 기록을 작성합니다.

강의 내용

Parent Entity와 Child Entity가 1:N으로 연관관계가 맺어져 있음. (따라서 연관관계의 주인은 Child Entity.)

이 상태에서 아래 코드를 실행시킬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1.setName("child1");

Child child2 = new Child();
child2.setName("child1");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setName("Parent1");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parent);
em.persist(child1);
em.persist(child2);

다음 사진과 같이 총 3번의 INSERT 쿼리가 나가게 됩니다.

1. Parent Entity INSERT      
2. (child1) Child Entity INSERT
3. (child2) Child Entity INSERT
img

1) 만약 Child와 Parent의 영속화 순서를 뒤집으면 어떻게 될까?

가정

연관관계의 주인(FK를 가지고 있는 쪽 - 여기서는 Child)을 가장 먼저 영속화 시켜주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 Parent를 영속화하기 전, Child를 먼저 영속화하였고, 이후에 Parent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1.setName("child1");

Child child2 = new Child();
child2.setName("child1");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setName("Parent1");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child1); // child를 먼저 영속화
em.persist(child2);
em.persist(parent);

System.out.println("=========");

결과

이 경우, 쿼리는 다음과 같이 나가게 된다.

1. INSERT CHILD1      
2. INSERT CHILD2
3. INSERT PARENT
4. UPDATE CHILD1
5. UPDATE CHILD2
img

그렇다면 여기서 왜 CHILD의 컬럼을 전부 업데이트하는 쿼리가 등장하였을까?

이유 [ Dirty Checking ]

“영속성 컨텍스트와 변경 감지” 복습

영속성 컨텍스트엔 1차 캐시가 있고, 이 안엔 ID, Entity, 스냅샷이 저장되어 있음.
이 때, 스냅샷은 DB에서 값을 읽어왔을 때 (영속성 컨텍스트에 들어왔을 때)의 상태를 저장해둔 것

persist() 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할 때) Child에 연관된 Parent는 영속성 컨텍스트에도 등록이 되어 있지 않고, DB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Child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될 시점엔 PARENT_ID (FK)가 NULL로 설정된 버전이 스냅샷으로 저장되는 것!

이후에 Parent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한 후에야 Child의 FK를 설정할 수 있기에,
트랜잭션의 커밋 시점에 Dirty Checking을 통해 UPDATE 쿼리가 생성되면 이 때 PARENT_ID, 즉 FK가 UPDATE 되는 것.

  • Dirty Checking 과정을 통해 FK가 세팅된 엔티티와 아직 FK가 세팅되지 않은 스냅샷을 비교하면서 UPDATE 쿼리를 날려준 것.

2) 하나의 엔티티에 두 번의 수정사항이 생긴다면, UPDATE는 두 번 나갈까?

가정

Child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시킨 이후에 FK도 바꾸고, 이름도 바꿔준다면 UPDATE 쿼리는 두 번 나갈까?

  1. Parent를 Child보다 이후에 등록 ⇒ FK UPDATE
  2. child1의 이름을 변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1.setName("child1");

Child child2 = new Child();
child2.setName("child1");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setName("Parent1");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child1);
em.persist(child2);
em.persist(parent);

child1.setName("childA");

System.out.println("=========");

결과

Child1에 대한 UPDATE쿼리는 한 번만 나가게 됨!

여기서 UPDATE 쿼리가 CHILD1과 CHILD2 모두 name과 PARENT_ID를 모두 업데이트 시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함.

  • CHILD1은 name, PARENT_ID 모두 UPDATE하고 있지만,
  • CHILD2는 PARENT_ID만 바뀐 상황임에도 name까지 모두 업데이트 되고 있음.

즉, 한 엔티티의 레코드 중 무엇이 변경되었는지를 일일히 확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 엔티티의 모든 레코드를 업데이트 하고 있다는 점!

img

이유 [@DynamicUpdate]

하이버네이트는 엔티티의 변경 사항을 감지할 때, 변경된 필드만을 대상으로 하는 ‘부분 업데이트’를 실행하지 않고, 엔티티의 모든 필드를 포함하는 ‘전체 업데이트’를 실행함.

@DynamicUpdate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하이버네이트가 변경된 필드에 대해서만 업데이트 SQL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며 모든 상황에서 성능 개선을 보장하지는 않음.

출처: 인프런 질문


3) @DynamicUpdate를 사용하면 UPDATE 쿼리는 어떻게 변할까?

가정

다음과 같이 Child에 @DynamicUpdate를 추가한 뒤, 2번의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어떤 UPDATE 쿼리가 나가게 될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Entity
@DynamicUpdate // 애노테이션 추가
public class Child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
    
}

결과

img

CHILD1

  • name과 PARENT_ID가 전부 변경되었으므로, name과 PARENT_ID가 전부 UPDATE 되는 쿼리가 생성됨.
1
2
3
4
5
6
7
8
Hibernate: 
    /* update
        for hellojpa.Child */update Child 
    set
        name=?,
        PARENT_ID=? 
    where
        id=?

CHILD2

  • FK(PARENT_ID)만 변경되었으므로, PARENT_ID만 UPDATE 되는 쿼리가 생성됨.
1
2
3
4
5
6
7
Hibernate: 
    /* update
        for hellojpa.Child */update Child 
    set
        PARENT_ID=? 
    where
        id=?

@DynamicUpdate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

PreparedStatement의 특징

미리 컴파일된 SQL 문을 포함하고 있어 PreparedStatment가 실행될 때 DBMS가 먼저 컴파일할 필요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함.

  • 여기서 ?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데, 동적으로 값을 넣을 수 있음.

ex)

1
2
3
4
5
6
7
8
9
String updateString =
  "update COFFEES set SALES = ? where COF_NAME = ?";


PreparedStatement updateSales = con.prepareStatement(updateString);

updateSales.setInt(1, 80);
updateSales.setString(2, "MAXIM");
updateSales.executeUpdate();

항상 성능에 유리하지는 않다!

JPA는 위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점에 PreparedStatement 스타일로 해당 엔티티의 UPDATE 쿼리를 만듦.

따라서 성능만 생각하면

  1. 해당 PreparedStatement의 컬럼에 값을 전부 넘기는 것과
  2. @DynamicInsert를 사용하여 하나만 UPDATE를 하는 것

위 두가지가 큰 차이가 없음.

오히려 2번 보다 1번처럼 전체 컬럼을 PreparedStatement 스타일의 SQL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게 더 속도가 빠를 수도 있는 것!

(물론 컬럼이 너무 많거나, 길이가 너무 길거나, 데이터가 크다면 상황은 달라짐.)

출처
[Oracle docs] JDBC Basics - Using Prepared Statement
인프런 질문 - “업데이트 고견 구합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